은행별 해외송금 수수료 비교 (국민·신한·우리·하나) [2025 최신판]
![은행별 해외송금 수수료 비교 (국민·신한·우리·하나) [2025 최신판]](https://blog.kakaocdn.net/dna/bzG2PW/btsQSAb2LL5/AAAAAAAAAAAAAAAAAAAAAMEd_ONjXLhLLVLeGM-Q5zfQ0vD2EE47Q0vz9C2RXYEU/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1922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hZlA8gV%2BqP2xGAYyoJsjDfLooGI%3D)
해외송금을 할 때 단순히 금액만 보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수수료와 환율 우대율이 총 송금 비용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1,000달러를 송금할 때 은행마다 수수료와 환율 차이로 인해 실제 수취 금액이 5만 원 이상 차이 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외송금을 자주 하는 분이라면 은행별 수수료 체계를 꼼꼼히 비교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1. 은행 해외송금 수수료의 기본 구조
대부분의 은행은 해외송금 시 다음과 같은 수수료를 부과합니다.
1️⃣ 송금 수수료 (송금은행 수수료)
- 송금을 요청한 은행에서 부과하는 기본 수수료
2️⃣ 전신료 (통신료)
- 해외 은행과의 전산 통신 비용
3️⃣ 중개 수수료 (코레스은행 수수료)
- 해외로 송금되는 과정에서 거쳐가는 은행(중개은행)에서 부과하는 비용
👉 따라서 “은행 해외송금 수수료”는 단순히 한 가지 항목이 아니라, 송금 수수료 + 전신료 + 중개 수수료를 모두 합산해야 정확합니다.
2. KB국민은행 해외송금 수수료
- 송금 수수료: 5,000~25,000원 (송금 금액 및 채널에 따라 다름)
- 전신료: (건당) 8,000원 (창구), (건당) 5,000원 (인터넷)
- 중개 수수료: 은행에 따라 다르며, 보통 15~30달러 수준
- 특징:
- 인터넷뱅킹/KB스타뱅킹 이용 시 수수료 할인
- 해외 유학생, 해외 체류자 대상 환율 우대 이벤트 자주 진행
👉 장점: 안정적, 전 세계 송금 가능
👉 단점: 기본 수수료가 다소 높은 편
3. 신한은행 해외송금 수수료
- 송금 수수료: 5,000~25,000원
- 전신료: (건당) 8,000원 (창구, 인터넷)
- 중개 수수료: 평균 20달러 내외
- 특징:
- 글로벌 네트워크(특히 미국·동남아)에 강점
- 신한 쏠(SOL) 앱 이용 시 수수료 절감 가능
- 해외법인·지점이 많아 해외 체류자 송금에 유리
👉 장점: 해외 네트워크 강점, 빠른 송금
👉 단점: 이벤트 혜택이 상대적으로 적음
4. 우리은행 해외송금 수수료
- 송금 수수료: 5,000~25,000원 (인터넷/모바일 이용 시 할인)
- 전신료: (건당) 8,000원, 단, 인터넷 송금 시 별도 통지시까지 개인고객 전신료 면제
- 중개 수수료: 평균 15~25달러
- 특징:
- 우리WON뱅킹 앱에서 간편 송금 가능
- 해외 제휴은행과 연계 송금 시 수수료 절감
- 특히 베트남·필리핀 등 동남아 지역 송금 시 강세
👉 장점: 모바일 중심, 소액 송금 시 저렴
👉 단점: 특정 국가 송금이 아닌 경우 차별화 부족
5. 하나은행 해외송금 수수료
- 송금 수수료: 5,000~25,000원
- 전신료: (건당) 8,000원 (창구), (건당) 5,000원 (인터넷)
- 중개 수수료: 평균 15~30달러
- 특징:
- 외환 특화 은행답게 환율 우대율이 높음
- 하나머니 적립/사용과 연계 가능
- 글로벌 네트워크 은행 중 하나로 신뢰성 높음
👉 장점: 환율 혜택이 좋아 실제 송금 비용이 절감
👉 단점: 기본 수수료는 국민·신한과 비슷
6. 은행별 해외송금 수수료 비교표 (2025)
| 은행 | 송금 수수료 | 전신료 | 중개 수수료 | 특징 |
| KB국민은행 | 5천-2만5천 원 | 8천 원 (창구), 5천 원 (인터넷) | 15-30달러 | 이벤트 많음, 안정적 |
| 신한은행 | 5천-2만5천 원 | 8천 원 (창구, 인터넷) | 약20달러 | 해외 네트워크 강점 |
| 우리은행 | 5천-2만5천 원 | 8천 원 (창구, 인터넷 단, 별도 통지시까지 개인고객 송금시 전신료 면제) | 15-25달러 | 모바일 송금 저렴 |
| 하나은행 | 5천-2만5천 원 | 8천 원 (창구), 5천 원 (인터넷) | 15-30달러 | 환율 우대 최고, 외환 특화 |
👉 표를 보면 알 수 있듯, 송금 수수료 자체는 큰 차이가 없지만, 환율 우대와 이벤트가 실제 비용 절감에 더 큰 영향을 줍니다.
7. 은행 해외송금 절약 꿀팁
- 인터넷·모바일뱅킹 이용: 창구보다 저렴
- 환율 우대 이벤트 활용: 50~90% 우대 가능
- 송금 목적 명확히 하기: 유학·생활비 송금은 서류 제출 시 수수료 절감 가능
- 핀테크 서비스와 비교: 소액 송금은 토스·카카오뱅크·와이어바알리 등도 고려
8. 해외송금 수수료 FAQ
Q1. 은행 해외송금 수수료는 왜 이렇게 비싼가요?
👉 중개은행을 거치기 때문에 국제 네트워크 비용이 추가됩니다.
Q2. 은행과 핀테크 송금 중 어느 쪽이 유리한가요?
👉 소액 송금은 핀테크, 대규모 송금은 은행이 안전합니다.
Q3. 환율 우대 이벤트만 잘 활용해도 절약할 수 있나요?
👉 네, 수수료 절감보다 환율 우대 혜택이 실제 절약 효과가 더 큽니다.
결론
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의 해외송금 수수료는 큰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환율 우대와 이벤트 적용 여부에 따라 실제 수취 금액은 크게 달라집니다. 따라서 송금 목적과 금액에 맞는 은행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외송금 절차 총정리 (처음 하는 사람도 쉽게 따라하기)
해외송금 절차 총정리 (처음 하는 사람도 쉽게 따라하기) 해외에 있는 가족이나 자녀에게 생활비를 보내야 할 때, 해외 대학에 등록금을 납부해야 할 때, 혹은 해외 투자나 거래를 진행할 때 우
tip.infoshit01.com
해외송금 한도, 얼마까지 가능할까? [2025 최신 기준]
해외에 거주하는 가족에게 생활비를 보내거나, 유학비와 투자금을 송금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하는 것이 바로 해외송금 한도입니다. 한국은 외국환거래법에 따라 개인과 법인의 송금 한도를
tip.infoshit01.com